Friday, August 9, 2013

신앙은 이상주의적으로 가지 않아야 합니다.(몸이 무익한 것으로 취급되는 것이 아니라 몸에 우리의 믿음이 실려서 신앙이 들어나야 한다. 결국 교육도 마찬가지이다. 삶의 변화나 행동의 변화가 없이는 교육이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우리는 영과 육체를 분리할 수 없는 준재이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모든 인간의 영역에서 회복되어야 하고 그 분의 뜻대로 살아야 한다)

고린도전서 096 / 몸의 변화 / 고전 15:35-44 / 1993.07.21
고린도전서 96 / 몸의 변화 / 고전 15:35-44 / 1993.07.21 누가 묻기를 죽은 자들이 어떻게 다시 살며 어떠한 몸으로 오느냐 하리니 어리석은 자여 너의 뿌리는 씨가 죽지 않으면 살아나지 못하겠고 또 너의 뿌리는 것은 장래 형체를 뿌리는 것이 아니요 다만 밀이나 다른 것의 알갱이 뿐이로되 하나님이 그 뜻대로 저에게 형체를 주시되 각 종자에게 그 형체를 주시느니라 육체는 다 같은 육체가 아니니 하나는 사람의 육체요 하나는 짐승의 육체요 하나는 새의 육체요 하나는 물고기의 육체라 하늘에 속한 형체도 있고 땅에 속한 형체도 있으나 하늘에 속한 자의 영광이 따로 있고 땅에 속한 자의 영광이 따로 있으니 해의 영광도 다르며 달의 영광도 다르며 별의 영광도 다른데 별과 별의 영광이 다르도다 죽은 자의 부활도 이와 같으니 썩을 것으로 심고 썩지 아니할 것으로 다시 살며 욕된 것으로 심고 영광스러운 것으로 다시 살며 약한 것으로 심고 강한 것으로 다시 살며 육의 몸으로 심고 신령한 몸으로 다시 사나니 육의 몸이 있은즉 또 신령한 몸이 있느니라


이 설교에서 부터

"신앙이 이상주의로 가지 않고, 우리가 갖고 있는 어떤 선한 의도와 일들을 행하는데 방해가 되는 환경과 조건을 만들어 내는,
우리 마음속에 있는 선행과 열심과 우리 마음속에 있는 주를 향한 어떤 충성심을 다 이루기 위해서 어떤 방해 요소들이 없이 좋은 조건들만으로 완성되는 것을 신앙이라고 하지도 않고 신앙의 가장 좋은 환경이나 방법이라고 가르치지도 않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이상주의 속에는 내 육체가 약해서 내 마음의 소원하는 것을 하지 못한다라는 사고 방식이 어떻게 많이 만연되어 있느냐면, 제일 많은 게 이거예요.
목사님이 완전하다면 이런 사고 방식입니다.
....
이거는 성경이 이야기 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교회안에는 전혀 이견이 없고, 우리를 시험하는 사건이나 사람이 없고, 시대도 우리를 편들고, 우리도 시대를 주도하고, 그런 것은 없습니다. 그래서 무슨 성도들이 요구하는 것들 중에 이런 것들이 많아요.
교회가 ..

교회는 어디 있어야 하냐면, 필요로 하는 사람들 속에 있어야 합니다. 사람이 있고, 거기 하나님이 부르신 영혼이 있고, 그들이 쉽게 달려나와 영적인 가르침을 받고 인도함을 받는데에 가장 적합한 곳에 있어야 합니다. 외적인 모습이나 기구나 다른 무엇보다도 그런 편리한 곳에 있어야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얼마나 커야 되느냐? 그건 아브라함링컨이 이야기한 것이 답입니다. ..

교회는 얼마나 커야 되는가? 거기 나오는 성도들이 와서 앉아서 예배볼만큼만 크면 됩니다...

교회안에 이런 것 저런 것이 없었으면 좋겠다. 우리 교회는 이렇고 저랬으면 좋겠다. 이런 것들은 다 우리 안에 가진 순진한 생각과 고결한 이상이 힘을 갖지 않고도 난관을 극복하지도 않고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응석입니다. ..

첫사랑을 이룬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왜 그러죠? 그 때는 첫사랑이라는건 목숨을 걸고합니다. 젊은 날에, 그런데 왜 안 이루어지죠. 열심이 없어서도 아니고, 진지하지 않아서도 아닙니다. 그들은 사랑을 이룰 만큼 지혜와 실력과 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가 얼마나 진지한가 소원과 열심과 그 희생정신을 갖고 있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이룰 실력이 있어야 됩니다. 영육간에 힘을 가져야 합니다. 그것이 없으면 안됩니다. ...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처음부터 무엇을 창조하셨고, 무엇을 목적하셨는지 놓치지 말란 말이예요.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우리를 지으셨어요, 진흙을 빚어 지으시고, 우리에게 온 천하 만물을 지으신 모든 것을 다스리게 하시고 생육하고 번성하라 하셨습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창조의 뜻이고 우리에게 허락한 복입니다. 그런데 이것을 놓고 나면, 구원과 내세를 향한 모든 목표가 이상주의가 되고 관념론으로 흐르게 됩니다. 그럼 사실이 문제가 아니고 도를 깨우치는 것이 문제가 되고 깨우치고 아는 것으로 끝날 위험이 있습니다. 하나님이 계시고 안계시냐가 아니라 선과 의로 갈 위험성이 있습니다. 하나님앞으로가 아니라 선으로 가는 것, 의로 가는 것, 도덕이 되어버릴 수 가 있고 득도하는 것이 되어버리는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대단히 위험합니다.

......

그 중에 하나가 도벽이 있는 친구가 있었습니다. .... 아무개가 도둑질을 했는데 왜 했느냐고 물어봤는데 여름 수양회를 가고 싶은 데 수양회비가 없어서 훔쳤다고 하더랍니다. 이녀석을 데리고 가야 됩니까? 안데려가야 됩니까? 라고 저한테 물었습니다. ...

데려갈 수 없다. 그 물은 학생이 반문했어요.
기독교는 회심을 시켜야 하는 종교고 사랑을 해야 되는 종교아닙니까? 어떻게 안데려갑니까?
그래서 제가 얘기 했죠.
그를 회심시켜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도둑놈 하나를 위해서 나머지 사람을 희생시킬 수 는 없다. 우리는 혼동해요 아흔아홉마리양을 우리에 나두고, 한마리 양을 구하러 가는 것은 아흔 아홉이나 됐다고 해서 만족하지 않는 다는 뜻이지 우리에 들어 와 있는 아흔 아홉마리보다 음침한 골짜기에 가있는 잃어버린 양이 더 귀중하다는 뜻은 절대로 아닙니다. 하나쯤 없어지면 어떠냐 이런 마음은 아니라는 말이죠. 그는 지금 도벽이 있습니다. 그를 데려가서 나머지 학생들의 신앙생활을 분명히 방해시킬 것을 우리가 그대로 방치할 순 없습니다. 그를 따로 기회를 주고 교화시키고 지도할 필요는 있습니다. 그러나 같이 섞을 수는 없죠...



지금 신앙새활에서 우리의 정신과 우리의 생각과 우리의 사고와 열심을 몸으로써 나타내지 않으면 안된다는 데 초점이 있습니다. 로마서 12장1절

진심이전에 몸이예요. 진심을 몸에 실어서 보내세요. 예의를 지킨다는 것,, 그런 것들은 실력입니다. 우리는 형식주의를 싫어합니다. 그러나 형식이 없이는 내용을 담지 못합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가진 진심이 형태로 나타나지 않으면 만족해서는 안됩니다. 그러나 우리가 크게 시험을 받는 것은 뭐냐면 ....

우리가 진심을 가지고도 진심을 표현하는 방법을 몰라요.
모두가 표정을 말을 좋게 하는 연습을 하셔야 행동이 좋아집니다. 말과 표정을 좋게 지으시고, 행동을 바꾸세요. 예의를 지키세요.

No comments:

Post a Comment